반응형 교육신념3 20세기 전기 교육철학 - 본질주의 본질주의(essentialism)도 진보주의 교육 사조를 비판하는 사조라는 점에서는 항존주의와 같은 입장을 취합니다. 항존주의자들이 확고한 철학적 신념들에 근거해 있지만, 본질주의자들은 다양한 견해들이 결집하여 있고, 또한 일부 진보주의자들의 견해에 동의하기도 합니다. 이들은 1938년 베 글리(W. C. Bagley)는 중심으로 '미국 본질주의 교육 개혁위원회'(The Essentialist Committee for the Advancement of American Eau cation)를 결성하고 본격적인 활동을 하였습니다. 이 위원회의 구성원들은 교육학자들로 한정된 것이 아니라 각계의 학자들로 구성되었습니다. 그래서 교육을 보는 관점도 다양하지만, 공통된 경향은 대체로 프래그머티즘 사상과 진보주의 교.. 2023. 7. 31. 20세기 전기 교육철학 - 항존주의 항존주의(perennialism)는 라틴어 '페르'(per)에서 나온 '불변, '영원, '항존'의 의미를 지닌 진리의 절대성과 불변성, 그리고 영원성을 믿은 신념을 말합니다. 항존주의의 철학적 배경은 고전적 실재론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고대의 영구적, 항구적, 근본적인 것의 추구에 관심을 기울인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사상적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항존주의자들은 인간은 이성적 동물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동의하여, 학교를 인간의 지능을 배양시키기 위한 제도로 봅니다. 항존주의의 입장은 인간의 본성은 변하지 않으며 본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가정에 기초합니다. 즉, 항존주의 교육에는 '절대의 원리'가 적용된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변화의 원리'가 적용되는 진보주의 교육과는 완전히 대조되는 부분.. 2023. 7. 30. 교육철학-교육관 vs 학문 vs 활동 교육철학은 바람직한 교육에 대한 견해와 소신을 가리킵니다. 교육에 직접 관계하는 사람 또는 교육에 대해 관심을 갖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교육이란 무엇인가?", "교육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자기 나름대로의 견해와 소신을 갖습니다. 교육의 개념과 목적, 내용과 방법 등에 대한 이와 같은 견해나 신념체계를 일컬어 흔히 교육철학이라고 합니다. '교육철학'이란 말은 '교육관'으로 대체해서 사용해도 무리가 없어 보입니다. 이것이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교육철학'이라고 말할 때 의미하는 바입니다. 하나의 실천 행위로써 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해 나가는 과정은 곧, 수많은 가치 선택과 결정의 과정인 동시에 그것을 체계화하는 과정입니다. 이렇게 볼 때, 교육의 실천과정은 일상적 의미에서의 '교육철학'을 .. 2023. 7. 3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