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철학7 교육철학-교육관 vs 학문 vs 활동 교육철학은 바람직한 교육에 대한 견해와 소신을 가리킵니다. 교육에 직접 관계하는 사람 또는 교육에 대해 관심을 갖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교육이란 무엇인가?", "교육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자기 나름대로의 견해와 소신을 갖습니다. 교육의 개념과 목적, 내용과 방법 등에 대한 이와 같은 견해나 신념체계를 일컬어 흔히 교육철학이라고 합니다. '교육철학'이란 말은 '교육관'으로 대체해서 사용해도 무리가 없어 보입니다. 이것이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교육철학'이라고 말할 때 의미하는 바입니다. 하나의 실천 행위로써 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해 나가는 과정은 곧, 수많은 가치 선택과 결정의 과정인 동시에 그것을 체계화하는 과정입니다. 이렇게 볼 때, 교육의 실천과정은 일상적 의미에서의 '교육철학'을 .. 2023. 7. 30. 철학과 철학하는 태도 우리가 지금 쓰고 있는 [철학]이라는 말은 유럽 말 philosophy 또는 Prilosophie를 옮겨 놓은 것으로 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피타고라스(Pythiagoras)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유럽 말들은 그리스 말 '필로소피아'(philosoplhia)에서 유래하였습니다. ' 필로소피아라는 말은 다시 '필로스'(philos ; 사랑)와 '소피아(sophia ; 지혜)라는 두 말이 합쳐져 이루어진 것입니다. 그러므로 '필로소피아'는 '지혜를 사랑하는 것'이라는 뜻이 되겠죠. 그런데 '지혜'에 초점을 맞추느냐 아니면 '사랑'에 초점을 맞추느냐 따라서 '필로소피아'의 뜻이 달라집니다. 대체로 소크라테스나 플라톤은 '사랑'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그들에게 그것은 '사랑으로의 철학'이라고 볼.. 2023. 7. 28. 이전 1 2 다음 반응형